지난 3일, 김종부 前창원부시장 기자회견서 “도관찰사로 바꾸자”

광역도의 수장을 지칭하는 도지사(道知事)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놀랍게도 올해로 딱 100년째다. 3·1만세운동 100주년이자, 상해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기도 한 올해 일제잔재인 도지사 명칭을 도관찰사로 바꾸자는 주장이 제기되며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3일 통영행정발전연구소 김종부 대표(전 마산·창원 부시장)는 통영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친일잔재 청산 차원에서 도지사(道知事)직위 명칭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자고 주장했다. 친일 인사가 작곡 했다는 교가(校歌)뿐 아니라 ‘애국가’까지 문제 삼고 있는 현실에서 일제시대 작명된 ‘도지사’도 당연히 교체 돼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도지사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관직은 도관찰사였다. 그러던 것이 대한제국을 거쳐 일제에 합병된 직후인 1910년 10월부터 도장관(道長官)으로 변경됐으며, 1919년 8월 20일부터 도지사로 변경한 이래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김종부 대표는 “그동안 도지사의 명칭 유래에 대해 몇몇 학자들에게 질의를 했지만 속 시원한 답변을 얻지 못했다”며 “1919년 8월 20일부터 발효된 ‘조선총독부 지방관 관제 개정의 건’이라는 문서에서 처음으로 획인했다”고 밝혔다. 이 문건을 보면 ‘지사’라는 관직을 새로이 만들어서, ‘도장관’을 ‘지사’로 바꾼다는 부분이 들어있다.

따라서 일제시대의 잔재물인 ‘도지사’라는 직함을 없애자는 것이 김종부 대표의 주장이다. 김종부 대표는 “역사적으로 보면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지금의 도지사를 ‘도백(道伯)’ 또는 ‘관찰사’라고 하던 때가 있었다“며 ”도지사 명칭을 청산하고 조선시대 선조들이 작명하여 사용했고 우리 정서에 맞는 ‘보고 살핀다’는 뜻의 관찰사(觀察使)로 개칭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일본도 지사(知事)라는 직함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도(道)에 해당하는 행정단위가 현(縣)이기 때문에 현지사(縣知事)라고 부른다. 미국의 주(州)를 다스리는 선출직 공무원을 주지사(州知事)로 부르지만 영어로는 거버너(Governer)라고 부르기 때문에 약간 다르다.

통영에서 시작된 이 작은 울림이 어떤 결말에 이를 지 귀추가 주목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한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