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만으로는 통영수산물이 처한 위기상황을 모두 해석할 수 없다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되는 가운데 가장 큰 원인은 인구절벽이고, 두 번째는 주요 소비계층의 최근의 소비성향을 파악하지 않아서라는 분석이 본지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제기돼 주목을 끌고 있다.

당초 본지는 ‘일본 수출길 어려워지는 통영수산물, 대란 막을 방도 없나?’라는 주제로 토론할 예정이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고, 우리 정부가 그에 맞대응하면서 시작된 한·일간 무역 분쟁으로 인해 통영의 수산물의 일본 수출길이 막히면 결국 국내재고로 남게 되고, 이미 내수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재고물량까지 쏟아지면 가격폭락과 어업인 손실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서였다.

하지만 토론회에 참석한 조합장과 수협관계자, 어민대표, 통영시청 담당자들이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아직까지 무역 분쟁으로 인해 수산물 대란이 발생했다고 볼 수는 없다. 굴수하식수협의 일본수출현황을 보면 2019년산 생굴·냉동 굴의 수출물량이 4290톤으로, 2018년산 4295톤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냉동 창고에 재고가 쌓여있다는 근해통발수협도 일본과의 무역 분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물론 향후 일본으로의 수출이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은 여전하다. 굴의 경우 생산량의 상당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되고, 붕장어의 경우 95%나 일본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통영시청 수산과 수산물유통계 김창도 팀장은 “베이비붐세대 550만 명이 퇴직 연금자가 되며 감소하는 소비액만 연간 약30조원”이고 “1인 가구, 맞벌이 가구가 늘어나며 즉석식품, 가정간편식으로 식생활 패턴이 변하고 있어 손이 많이 가는 통영수산물 구매가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진단에 대해 토론참석자들 대부분이 동의하며 더불어 다양한 수출시장 개척으로 특정국가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단순가공식품 보다는 3~5차 가공식품을 만들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사로잡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이런 수산식품을 기획하고, 연구개발하며, 판매소비하는 데까지 어업인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식품대기업과의 협업 및 연계·인센티브 지원 등 통영시가 적극적으로 앞장 서줄 것을 촉구했다. 내년 착공해 2021년 완공될 수산식품거점단지는 통영수산물의 도약을 가늠할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한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