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2014년이 가고 2015년 을미년 새해가 밝았다.

특히, 올해는 5년 후 2020년의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해로, 지난해 우리 사회를 휩쓸었던 ‘안전’ 문제를 전반으로 확대, 이를 실천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해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조직개편이 안전 위주로 이뤄지고, 예산도 대폭 느는 등 부산을 떨었지만, 달라진 것은 별로 없어 보인다.

먼저 시민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이 우선인데, 가장 기초적인 교통질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이를 계도해야할 자치단체, 경찰 등은 일회성 캠페인 등 형식적인 조치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세월호 여파로 안전문제가 화두로 제기됐을 때 요트대회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대회 주최 측이나 해양경찰이 조금만 신경을 썼어도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피해 가족들이 주최 측과 해양경찰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는 말도 들린다.

시민들은 횡단이 금지된 도로를 무단횡단하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긴장도는 높아지고, 1차선을 점령한 차 때문에 중앙선을 침범해야 하는 운전자들은 늘 긴장하고 있다. 만일 사고가 난다면 중앙선을 침범한 차량이 과실이 크기 때문에 막대한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경찰이나 통영시는 아예 손을 놓고 있다. 불법주차 단속요원들은 형식적으로 단속에 그치고 있으며, 밤엔 아예 도로가 주차장이 되는 곳이 많다.

법이 틈이 보여지면 봇물처럼 위반하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점점 벌어진 틈은 물을 새게 하고 종국에는 둑을 무너뜨리게 한다. 세월호는 사태는 바로 이러한 결과물이다. 통영시가 제대로 단속한 하지 못한 탓에 한 생명이 죽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안전은 큰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작은 것부터 실천할 때 비로소 안전이 완성된다.

도로표지판도 잘못된 곳이 있다. 직진하면 바로 반대편 차선으로 들어가게 돼 있어 좌회전만을 용인해야 한다. 이렇듯 사회 전반에 하나하나 점검을 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때로는 계도와 정확한 법 집행만이 사회를 안전지대로 만들 수 있다. 사후약방문이 되면 안된다.


저작권자 © 한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