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부유·침적쓰레기 등 매년 17만7000톤 발생, 90%는 침적

해양쓰레기란 사람이 생활을 영위하면서 만들어 내는 모든 부산물로써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된 것을 일컫는다. 해양쓰레기는 근본적으로 육지 쓰레기와 똑같다. 만들어진 부산물이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되면 그것이 곧 해양쓰레기다. 해양쓰레기는 바다쓰레기 또는 해양폐기물로도 불리는데, 해양폐기물에 포함되는 축산분뇨·하수오니 등 액상 물질은 제외한 고형의 폐기물만을 뜻한다. 해양쓰레기는 다시 해안쓰레기, 부유쓰레기, 해저쓰레기 또는 침적쓰레기로 분류하는데, 해양쓰레기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느냐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해양쓰레기 매년17만7000톤 발생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오는 해양쓰레기의 총량은 매년 약17만7000톤으로 추정된다. 육지에서 유입되는 쓰레기가 67%정도이며, 나머지 33%는 바다에서 유입된다. 바다로 들어온 쓰레기는 해안에 밀려와 쌓이거나 바다 위를 떠다니고 혹은 바다 밑 바닥에 가라앉는데, 총량은 약15만2000 톤 정도로 추정된다. 전체 해양쓰레기의 86%가 침적 쓰레기가 되는 것이다.

해양쓰레기 중 대다수는 하천과 강을 통해 들어온다. 특히 장마철 폭우나 태풍이 있을 때 부서진 구조물 등과 함께 방치된 쓰레기더미가 함께 바다로 이동하게 된다. 부피가 작고 가벼운 것은 태풍이 아니더라도 바람에 날리거나 배수로를 거쳐 수시로 바다로 유입 된다. 해변피서객, 행락객들이 바닷가에 버리고 방치한 쓰레기가 파도나 강풍에 휩쓸려 바다로 들어오기도 하며, 어선 조업을 하거나, 낚시를 하거나, 레저용 선박을 타고 다니거나, 상선이나 군함 등 선박을 타다가 무의식적으로 버리면 그것이 곧 해양쓰레기가 된다.

양식시설이나 어구, 어망 등은 시설이나 어구를 교체할 때나 태풍과 강풍이 불 때면 떨어져 나가 쓰레기가 된다. 장마철 폭우나 태풍 때 바다로 떠내려 온 초목류는 엄밀히 보자면 자연물이라 해양쓰레기는 아니지만, 초목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공 부유물과 뒤섞이기 때문에 재해쓰레기로 처리하고 있다.


해양포유동물 매년 10만 마리 폐사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는 다양하고도 엄청나다. 우선 인간의 생존을 위한 활동인 어업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어망에 쓰레기까지 걸려 올라오면 일일이 골라내야 하므로, 조업이 늦어지거나 어망을 다시 구입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어획물을 가공할 때 작은 쓰레기 조각 때문에 추가 작업이 필요 하는 등 어업 생산 효율성을 저해한다.

다음은 어획량과 직결되는 피해다. 해양쓰레기는 바다생물을 직접 죽인다. 낚싯줄, 밧줄, 그물, 풍선줄, 비닐 등이 바다동물의 목, 다리, 부리, 날개 등에 걸리면 천적을 피할 수도 없고, 먹잇감을 잡을 수도 없어 생존할 수 없다. 버려진 어망이나 통발에 의도하지 않았던 생물이 걸려 죽는 일명 유령어업(ghost fishing) 문제도 심각하다. 매년 바다새가 100만 마리, 고래나 바다표범 등 보호어종인 해양포유동물이 10만 마리나 해양쓰레기에 걸려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닐봉지, 플라스틱조각, 스티로폼 등이 바다생물의 위장에 쌓이면 바다생물에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서서히 굶어서 죽어가게 만든다. 무엇보다 해양쓰레기는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해앵생물의 서식지를 파괴한다. 쓰레기가 해안이나 얕은 바다 밑에 집중적으로 쌓여 생물의 서식지를 아예 덮어버리는 경우도 있고, 그물에 덮여버린 산호초는 안식처가 되지 못한다.

선박사고 유발, 경관 훼손까지
이 뿐만이 아니다. 선박사고의 10분의 1은 해양쓰레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한다. 버려진 밧줄, 어망이 선박의 추진기에 감기거나, 비닐봉지가 냉각수 파이프에 빨려 들어가면 엔진에 부하가 걸려 운항을 할 수 없다. 해양쓰레기는 관광자원의 질을 떨어뜨린다. 아무리 훌륭한 관광자원이 있더라도, 깨끗한 바다환경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가치와 질이 떨어질 것이다.

해양쓰레기 수거와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은 육지 쓰레기일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가 된다. 잠수부를 고용하거나 중장비를 이용해서 수거해야 하고, 처리에 앞서 쓰레기에 달라붙은 담치나 굴, 따개비 등을 제거하고 짠 바닷물, 멜 등도 씻어내어야 하며, 재활용이나 소각, 매립마저 어렵게 만든다. 심지어는 해양쓰레기는 국제적인 갈등을 유발한다. 중국의 쓰레기가 우리나라로, 우리나라의 쓰레기는 일본으로, 일본의 쓰레기는 태평양의 섬들, 호주와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3차 관리기본계획 수립
우리나라는 체계적인 해양쓰레기관리를 한 지가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해양쓰레기의 예방, 수거, 관리기반 구축, 교육홍보 등 종합적 전략에 따른 사업계획을 담은 해양쓰레기 관리기본계획을 지난 2009년부터 세웠고, 올해까지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기본계획은 종료된다. 내년부터 적용되는 제3차 해양쓰레기관리기본계획을 마련 중이다. 해양쓰레기 정책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예방이다.

특히 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막기 위해 5대강 유역 전체에 ‘하천·하구 쓰레기 관리 협약’을 지자체와 체결해 폐부표 회수 시스템을 만들고 있으며, 선 상집하장을 보급하고 있다. 생활 밀착형 수거 사업도 강화해 항만의 쓰레기는 상시적인 수거 처리를 통해 안전운항 위협을 줄이고 있으며, 시민들이 참여하는 연안 정화 활동 활성화도 지원하고 있다. 해양쓰레기의 예방과 효율적 수거 처리를 위해서는 발생원인, 발생량, 분포 실태 등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가 있어야 한다. <참고/해양쓰레기 대응센터>

키워드

#N
저작권자 © 한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